본문 바로가기
테니스와 삶

범실을 줄이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by 수담객 2023. 7. 29.
반응형

테니스는 점수를 어떻게 하면 획득하나요. 매우 간단히 말한다면 상대방 보다 한 번만 더 넘기면 됩니다.

열 번이고 수 무번이고 상대방보다 한 번만 더 상대 코트로 공을 넘겨만 주면 포인트를 얻는 것이죠.

매우 간단하죠!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여러 가지 기술적인 사항도 있습니다만, 중요한 사항 중에 하나는 바로 자기 범실 즉 에러를 줄여야 합니다.

오늘은 테니스에서 범실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코트에 내가 있는 위치에 따른 스트로크 세기 조절이라는 주제로 글을 써 보려고 합니다.

 

범실을 줄이는 방법
테니스 범실을 줄이는 방법

1. 공통사항

 

테니스 네트를 잘 보시길 바랍니다. 네트 위를 기준으로 그물망 사이에 하얀 띠가 있습니다. 이를 화이트 밴드라고 부릅니다. 내가 발리를 하든 포핸드나 백핸드 스트로크를 하든 간에 화이트 밴드 아래에 있는 공을 칠 때는 일단 공격하는 공이 아니라 중립, 혹은 수비적으로 쳐야 하는 공이라고 생각해 주세요. 화이트 밴드 보다 높은 공은 발리에서는 공격으로 해도 좋겠습니다. 그러나, 포핸드나 백핸드 스트로크라고 할 때 아래 문단 2와 문단 3과 같이 내가 있는 위치에 따라 스트로크 전략을 잘 생각해야 합니다. 문단 2와 같은 상황이라면 무조건 공격만 해서는 곤란하지 싶습니다. 하물며 문단 3과 같은 상황이라면 더 더욱 공격 일변도의 공을 쳐서는 안됩니다. 

 

반응형

2. 베이스라인 기준 서비스 라인 방향으로 들어와서 스트로크 할 때

 

화이트 밴드 아래로 온 공을 중립적으로 80% 이하의 스윙 강도로 포핸드나 백핸드를 칩니다. 왜 이런 상황에서 공을 약하게 치지 라고 의문을 갖는 분이 계시나요! 이 정도의 강도로 공을 쳐도 이 위치에서는 문단 3의 경우보다 더 다양한 각도로 상대에게 공을 보낼 수 있습니다. 또한, 베이스라인 뒤에서 칠 때 보다 내가 친 공이 상대에게 더 빨리 도착하게 됩니다. 즉 상대는 내가 친 공에 대해 그 만큼 빨리 대응을 해야 합니다. 제가 주장하는 바는 이 위치에서 내가 강하게 쳐서 바로 점수를 내려고 하지 말고 앞서 설명한 이점을 살려 범실 없이 내가 갖고 있는 70 ~ 80% 힘으로 스윙을 하자는 것입니다.

한 번 바운드 된 상대의 공이 화이트 밴드 보다 높을 때는 어떤 전략으로 스윙을 할까요! 내가 서비스 라인과 베이스 라인 사이에 서 있다면 저는 이 때에도 전력을 다해 스윙을 하지 않고 80 ~ 85% 정도의 세기로 스윙을 하겠습니다. 서비스 라인 안에 서 있다면 굉장히 다양한 방법으로 점수를 딸 수 있기 때문에 따로 설명을 드리지 않겠습니다.

 

3. 베이스라인 기준 코트 밖에서 스트로크 할 때

 

베이스라인 밖에 서서 스트로크를 하는 상황이라면 더욱 더 신중하게 공을 쳐야 합니다. 테니스는 굉장히 역동적으로 공을 치는 스포츠이기때문에 공을 맞이하는데 1초보다 짧은 시간일지라도 여유를 갖느냐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래서 베이스라인 뒤에서와 앞에서 똑 같은 힘으로 치는 공이라 할 지라도 상대는 분명하게 시간 차이를 갖게 되죠. 이 쯤되면 제가 주장하려는 바가 무엇인지 문치를 챈 분들이 많을 텐데요. 내가 베이스라인 밖에 서서 스트로크를 치는 상황이라면 화이트 밴드 위에 있던 아래에 있던 간에 공을 수비적으로 혹은 중립적으로 쳐야 합니다. 상대방 전위에게 걸리지 않을 정도의 각도로 길게 넘겨 주는 공이 최상입니다. 로브도 훌륭한 스트로크 전술에 해당하고요. 특히 강조하는 것은 이 위치에서는 화이트 밴드 위에 있는 공이 절대 찬스 공이 아니라는 생각으로 쳐야 합니다. 베이스라인 뒤에서 내가 아무리 빠르고 강하게 스윙을 해도 상대는 충분히 준비를 할 시간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4. 정리

 

오늘은 코트에서 내가 서 있는 위치에 따라서 범실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을 했습니다. 다소 의외라는 반응을 갖는 독자라면 댓글로 의견을 많이 남겨 주십시오. 함께 생각을 나누고 싶습니다. 프로 선수나 아마추어 동호인 할것 없이 범실을 줄이는 것이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범실이 적은 상대를 만났을 때 힘이 든 경험을 누구나 했을 겁니다. 이제부터 내가 범실을 적게 하는 끈질긴 선수가 되어 봅시다.

 

반응형